구매 직무? Procurement?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재, 부품, 원재료, 가공품, 반제품 등을 외부에서 구입하는 일
구매 직무가 하는 일
구매 직무는 그저 구입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 전략을 수립하고, 업체들을 관리하며 계약을 체결하는 일을 수행해야 합니다.
- 구매 예측, 자재 소요량 계획
- 공급자 선정
- 가격 협상
- 업체와 계약 체결 및 관리
- 검수 및 출고 관리
- 조달을 받은 후에 생산과 판매시스템과 연결
필요한 역량
이처럼 구매 직무는 다른 업체와, 또는 자사 내 다른 부서들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인 직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통능력 및 협상능력이 중요하겠죠?
이 외에도 재고 수량, 물건 납기, 계약 등을 관리해야 하므로 꼼꼼한 성격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업, 사업에 따라 출장을 많이 나갈 수도 있기 때문에 국내 또는 해외 출장에 대한 두려움이 없으면 좋습니다.
구매관리는 문과? 이과?
구매는 특별히 경쟁력이 있는 전공이 없습니다. 상경계열, 무역 관련 전공을 선호하는 곳도 있고, 산업에 따라 이공계열을 선호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구매 원가를 관리하고 타 부서와의 협력에 있어 문과가 더 수월할 수도 있고, 이과는 해당 기업의 제품에 대해서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구매 직무는 다른 직무에 비해 특정 전공 지식을 요하지는 않지만, 그만큼 다양한 분야에 대해 꾸준한 공부가 필요한 직무입니다.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구매 직무는 관련 전공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준비 방법에도 정답이 없습니다. 다음은 제가 생각하는 구매 직무를 위해 준비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1. 구매/무역 자격증
현직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구매 관련 자격증(특히 민간자격증)을 따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따놓으면 도움 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구매 직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기 위해 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KPM (민간자격증)
- CPSM (국제공인자격증)
- 유통관리사
- 물류관리사
2. 외국어 능력
기업에 따라 중요한 외국어가 다르지만,
보통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이 채용공고에 많이 보입니다.
3. 구매/무역/영업 경험 쌓기
구매/무역 경험을 쌓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습니다. 면접 또는 자소서에 관련 경험을 어필하기 위해 대학교 때 다양한 교내/교외 활동/아르바이트/인턴 경험을 쌓으면서, 그 안에서 구매 직무와 관련을 지어야 합니다. 무조건 구매 경험이 아니더라도 사람들과 어떻게 소통을 했는지, 어떤 갈등을 해결했는지, 사람들을 어떻게 설득 했는지 등이 중요합니다.
4. 품질관리 자격증
구매 직무는 물건의 규격, 수량, 품질 등을 검사한 후에 물건을 받아야 하며, 받은 후에도 꾸준히 검수관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품질 관리사 자격증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품질관리담당자 (민간자격증)
- 품질경영기사 (국가기술자격증)
구매 직무의 어려움
- 구매 직무가 중요한 이유는 구매 부서가 원가를 절감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매 직무는 원가를 낮출수록 좋지만, 가격 cost와 품질 quality는 trade-off관계이기 때문에 가격을 낮추면서 품질을 높이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최적의 가격과 품질을 얻는 것이 구매 직무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 구매 직무는 기업이 필요한 자재를 이해하기 위해 내부 부서와 협의하고, 업체를 선정하고 가격을 협상하기 위해 외부 업체와 협의합니다. 그 과정에서 의견이 충돌할 수 있고, 특히 외부 업체와는 갑질/을질 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24년도 DS부문 채용공고 달라진 점? (제조&기술, 반도체공정기술, AVP 사업부 변화, 직무기술서 JD 파일) (1) | 2024.06.19 |
---|---|
직무소개 #4 - 반도체공정설계 (삼성전자) (0) | 2024.01.31 |
직무소개 - 평가 및 분석 (삼성전자) (0) | 2024.01.26 |
직무 소개 #2 - 공정기술 엔지니어 (0) | 2024.01.19 |